TIL) ResponseEntity와 Custom Exception
📝 오늘의 내용정리 알고리즘 스터디 6일차 ResponseEntity ResponseEntity는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HttpEntity를 상속받아 구현한 클래스이다. 응답을 나타내는 클래스로, 응답 본문, 상태코드, 헤더를 포함하고 있다. ResponseEntity를 사용하면 응답을 상세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을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다. Custom Exception 현재 코드에서는 게시글이 존재하지 않을 때와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때 예외상황을 처리하고 있는데, 모두 500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된다. 의미없는 데이터도 같이 전달되는 상황이다. 발생한 예외를 적절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커스텀 예외를 만들어 보자! 1. ErrorCode enum 생성 2. Exception, ExceptionHandler 추가 @ControllerAdvice 여러 컨트롤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외를 일괄처리 한다. @ExceptionHandler @Controlle…